최종편집:2025-08-27 오후 06:16:39
최신핫뉴스
뉴스 > 행정

서울교통공사, 연중무휴 지하철 역사 내 의원+약국 ‘메디컬존’...올해 12개 역사로 확대


김동영 기자 / kdy3300@naver.com 입력 : 2024년 08월 19일
트위터트위터 페이스북페이스북 밴드밴드 카카오톡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블로그
- 서울교통공사, 6호선 역촌역, 7호선 사가정역 메디컬존 사업자 공모…8월 19일부터 모집
- 역삼‧합정 등 8개 역에서 9시 30분~20시까지 운영 중, 퇴근 후에도 원스톱 진료‧처방 가능
- 약국만 운영하는 역사도 32개, 서울시민의 의료접근성 향상에 도움…시민 밀착 지원
- 하반기에는 7호선 용마산, 8호선 장지역에도 메디컬존 조성…지속 확대 계획


역삼역 입점 병원 모습 / 사진=서울교통공사

서울교통공사는 출근 전, 퇴근 후 가까운 지하철역에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메디컬존’을 확대 조성한다.

‘메디컬존’은 지하철 역사 내 병원과 약국이 함께 운영되는 서비스로 현재 종로3가, 역삼, 합정 등 총 8개 서울 시내 지하철 역사에서 운영 중이다.

365일 연중무휴로 아침 9시 30분부터 저녁 8시까지 운영해 늦은 퇴근을 하는 직장인들도 진료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서울교통공사는 오는 8월 19일부터 역사 내 상가를 의원‧약국으로 구성한 메디컬존 사업 임대차 입찰이 6호선 역촌역과 7호선 사가정역을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역삼역 입점 약국 / 사진=서울교통공사

시민들이 진료와 처방을 원스톱으로 받을 수 있도록 메디컬존은 동일 역사 내 의원․약국 동시 입점을 추진한다.

주말을 포함해 매일 아침 9시 30분에서 저녁 8시까지 365일 연중무휴로 운영된다. 지하철을 이용하다가 몸이 불편하거나, 대부분 병원이 운영시간을 넘긴 퇴근길에도 편리하게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메디컬존 입찰에는 현재 의사 또는 약사 면허 자격을 가진 사람만 입찰할 수 있다. 개인이 아닌 법인으로서 입찰에 참여할 때도 법인 대표가 의사‧약사 면허를 소지해야 한다. 특성상 의료 전문성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다.

지하철 역사 내에 의원‧약국 입점이 가능해진 것은 최근의 일이다. 2021년 이전에는 일부 자치구 보건소에서 용도확인을 위한 건축물 대장이 없다는 사유로 개설이 거부되는 사례가 많았다.

공사는 이러한 규제를 개혁하기 위해 서울시, 국토교통부, 감사원 등과 협의를 통해 ’20년 12월 국토교통부 고시를 이끌어냈고, 

 

이를 근거로 건축물대장을 갈음하는 편의시설관리대장을 발급함에 따라 지하철 역사 내 의원‧약국이 입점할 수 있게 되었다.

시민들의 호응도 좋았다. 올해 7월 임대상가 이용 고객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신규 입점 및 확대 희망 업종이 ‘의원 및 약국’ 23%로 1위를 차지했다.

메디컬존은 이용 시민에게는 의료접근성 향상을, 의사와 약사들에게는 포화된 지상 역세권으로부터 새로운 기회 포착의 장이 되고 있다.

공사는 이번 역촌역‧사가정역 2개소의 입찰을 시작으로 9월에는 7호선 용마산역과 8호선 장지역의 입찰도 준비 중이다.

장기적으로는 서울 전역에 뻗어있는 1~8호선 곳곳에 촘촘하게 의료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김정환 서울교통공사 전략사업본부장은 “지하철은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시대에 따라 시민들의 필요에 맞추어 상권을 조성해 나가는 노력 중"이라며

“앞으로도 꾸준히 메디컬존 사업을 확대하여 시민들의 건강 복지 함양 및 편의를 증진함과 동시에 공사의 수익 창출을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
문화/스포츠 +
포토뉴스
검찰청법 폐지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수사와.. 
【김중환 논설위원 칼럼】노년은 걱정이 아니라 .. 
【기고】지는 해를 존엄하게ㅡ인생의 현자(賢者).. 
오늘 주간 월간
제호 : 새용산신문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200-1 (한강로1가), 2층 | 대표전화 : 02)797-0331 | 팩스 : 02)3211-3330
발행인 : 김동영 | 편집인 : 김동영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아54238 | 등록일 : 2022년 04월 28일
기사제보 : kdy3300@naver.com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동영 | 청탁방지담당관 : 새용산신문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동영
새용산신문의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새용산신문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