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희영 경부선 지하화 추진협의회장(중앙)이 경부선 지하화 선도사업 및 종합계획 반영을 위한 공동건의 선포식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용산구
|
서울 용산구(구청장 박희영)를 비롯한 수도권 7개 지방자치단체가 서울역~당정역 구간 경부선 철도 지하화를 제21대 대통령선거 공약에 채택해 줄 것을 여야 선거대책위원회에 공동 건의했다.
‘경부선 철도지하화 추진협의회’(회장 박희영 용산구청장)는 지난 5월 16일,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를 각각 방문해 공약 반영을 촉구하는 공동건의문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협의회에는 서울 용산구, 영등포구, 동작구, 구로구, 금천구와 경기 군포시, 안양시 등 총 7개 기초지자체가 참여하고 있다.
경부선은 1904년 개통된 국내 최장 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남북을 관통하는 주요 간선 철도다. 하지만 120년 이상 지상 노선으로 운영되면서 도심 내 지역 단절, 소음·진동, 도시미관 저해, 주변 주거환경 낙후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정부는 올해 1월, 철도시설의 입체적 개발을 위한 ‘철도지하화통합개발법’을 제정했으며, 2월에는 부산·대전·안산 등 3곳을 철도지하화 우선사업 대상지로 선정한 바 있다. 수도권 구간의 경우, 지자체와 협의를 통해 추가 사업 추진 가능성을 열어 둔 상태다.
경부선 철도지하화 추진협의회는 2012년 출범 이후 지속적으로 지하화를 위한 기반 마련에 힘써 왔다. 그간 ▲서울역~당정역 구간 기본구상 공동용역 추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 협의 ▲철도지하화 선도사업 대상지 선정 건의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박희영 협의회장은 “경부선 지하화는 단순한 선로 이설을 넘어, 수도권 도시 구조를 혁신하고 주민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국가적 과제”라며 “지속되는 행정 지연 속에 주민들의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는 만큼, 이번 대통령선거 공약 반영을 통해 지하화 사업의 조속한 실행 기반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하화 대상 구간인 서울역~당정역은 서울 중심부부터 경기도 군포시까지 총 약 30km에 이르는 핵심 철도 구간으로, 지상 철도에 따른 교통 체증과 지역 불균형 해소에 대한 주민들의 요구가 꾸준히 이어져 왔다.
|